■PuTTY를 통한 접속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 설정까지 끝이 났고, 이제 실제로 접속해보려고 합니다. 간단하게 아래 가이드를 따라서 PuTTY를 설치하고, 접속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대로만 따라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리눅스 가상머신 PuTTY설치가 끝났습니다.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설정창이 나타납니다. 파란색 박스안에 공유기 IP주소와 아까 위에서 포트포워딩 설정한 외부포트번호를 입력하고, Open하면 연결이 잘 됐을경우 접속에 성공하게 됩니다. 최초 접속시 경고창이 뜨는데 Yes눌러주시면 다음과 같이 로그인 화면이 생성됩니다.id(pi)와 password(raspberry)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참 간단하게 외부에서 파이로의 접속에 성공했습니다. 이제 우린 더..
■라즈베리파이를 놓고 다닌다고? 파이에게 인터넷도 연결해 줬으니, 이제 기본적인 작업 환경은 셋팅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허나, 매번 파이를 들고 다니면서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심지어 무선인터넷 설정까지 다시 셋팅하기가 힘든게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 원점에 파이를 항상 연결 해 놓은 상태에서, 좀 더 스마트하게 외부에서 파이에 접속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파이의 IP를 확인하겠습니다. 현재 192.168.0.176으로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명령어는 ifconfig입니다. (ipconfig와 혼동금지!) ■포트포워딩이란 다음으로 외부에서 공유기에 접속할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포트 포워딩을 할 것 입니다. port forwarding, 사전적 의미 그대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Spring Boot
- github
- springboot
- vuex
- 한밭이글스
- 라즈베리파이
- AWS
- 한밭대학교
- Recursion
- Spring
- 자바
- vuejs
- Java
- 순환
- 알고리즘
- IT융합인력양성사업단
- 시간복잡도
- 젠킨스
- ORM
- Wisoft
- 무선통신소프트웨어연구실
- JPA
- 스프링부트
- 정렬
- 레드블랙트리
- Vue.js
- Raspberry Pi
- Algorithm
- RB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