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리한 프로그래밍을 위한 알고리즘 강좌 '(링크)와 '쉽게 배우는 알고리즘 관계 중심의 사고법 - 문병로' 참조
5-2. Red-Black Tree 02 - INSERT, FIXUP
INSERT
보통의 BST에서처럼 노드를 INSERT한다.
새로운 노드 z를 red노드로 한다.
RB-INSERT-FIXUP을 호출한다.
1 : 또다른 포인터 y를 사용해서 y가 x의 한칸 뒤를 쫓아 내려오록 해야 새로운 노드를 insert할 자리를 관리할 수 있다. 레드블랙트리에서 특수하게 NIL 노드를 사용하지만, 실제로 구현할때는 null이 된다.
3 - 7 : 새로운 노드 z가 들어갈 자리를 찾고,
8 : z의 parent를 y로 설정해준다.
9 - 10 : 예외적인 경우 y가 null이면, 새로운 노드 z는 이 트리의 루트 노드가 된다.
11 - 13 : y노드의 키값과 새로운 노드의 키값을 비교하여, y의 왼쪽 자식일지 오른쪽 자식일지 결정한다.
14 - 15 : 새로운 노드는 BST의 leaf 노드가 되기 때문에, 새로운 노드의 자식들을 null로 설정한다.
16 : 새로운 노드는 RED노드로 설정한다.
17 : RB-INSERT-FIXUP(T, z)메소드를 호출한다.
새로운 노드 z의 부모노드가 RED일 경우 레드블랙트리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조정이 필요하다.
RB-INSERT(T, z)
1 y <- nil[T]
2 x <- root[T]
3 while x != nil[T]
4 do y <- x
5 if key[z] < key[x]
6 then x <- left[x]
7 else x <- right[x]
8 p[z] <- y
9 if y = nil[T]
10 then root[T] <- z
11 else if key[z] < key[y]
12 then left[y] <- z
13 else right[y] <- z
14 left[z] <- nil[T]
15 right[z] <- nil[T]
16 color[z] <- RED
17 RB-INSERT-FIXUP(T, z)
RB-INSERT-FIXUP
레드블랙트리의 규칙이 위반될 가능성이 있는 조건들
각 노드는 red 혹은 black이다.
위반 가능성 없음
루트노드는 black이다.
새로운 노드 z가 루트 노드라면 규칙 위반, 아니라면 위반 가능성 없음
새로운 노드 z가 루트 노드라면 간단하게 노드를 블랙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주면 된다.
모든 리프노드(즉, NIL 노드)는 black이다.
새로운 노드의 자식들을 NIL노드로 설정하므로 위반 가능성 없음
red노드의 자식노드들은 전부 black이다.(즉, red노드는 연속되어 등장하지 않고)
위반 될 가능성이 있다. 부모 노드가 원래 RED였다면, RED - RED 가 되므로 위반이 발생한다.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이 RED - RED 조건을 위반 하는 것이다.
모든 노드에 대해서 그 노드로 부터 자손인 리프노드에 이르는 모든 경로에는 동일한 개수의 black노드가 존재한다.
새로운 노드를 RED로 추가 했으므로, 위반 가능성 없음
Loop Invariant (루프를 돌면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조건) :
z는 red 노드
오직 하나의 위반만이 존재한다.
조건 2 : z가 루트노드이면서 red이거나, 또는
조건 4 : z와 그 부모 p[z]가 둘 다 red 이거나.
조건 4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노드를 타고 올라가다 보면, 또다른 RED - RED 위반이 있을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루트노드까지 타고올라가게 되면, 조건 2를 위반 한 것이므로 루트노드를 블랙으로 바꿔주고 종료하면 된다.
종료조건 :
부모노드 p[z]가 black이되면 종료한다. 조건2가 위반일 경우 z를 블랙으로 바꿔주고 종료한다.
문제 정의
총 6가지 case로 이 문제를 정의한다.
p[p[z]]가 반드시 존재하는 이유는 RED - RED 위반이 발생한 경우, p[z]가 RED이므로 레드블랙트리의 조건에 의해 부모인 p[p[z]]는 블랙 노드로 존재할 수 밖에 없다.
1, 2, 3 Case는 p[z]가 p[p[z]]의 왼쪽 자식인 경우
4, 5, 6 Case는 p[z]가 p[p[z]]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
Case 1, 2, 3과 4, 5, 6은 대칭적이기 때문에, 코드상에서 left와 right만 바꿔주면 된다.
Case 1, 2, 3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본다.
Case 1 : z의 부모의 형제가 RED인 경우
새로운 노드 z의 부모가 RED이면서, 부모의 형제 노드 D가 RED인 경우이다.
(a) - 오른쪽 자식, (b) - 왼쪽 자식
이 경우 부모노드와 부모노드의 형제노드를 BLACK으로 바꾸고, 할아버지 노드를 RED로 바꾼다.
그리고 나서, 할아버지 노드 C를 새로운 노드 z로 설정하여 위로 타고 올라가면서 레드 블랙 트리의 조건을 위반하는지를 검사한다.
Case 1의 경우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다. z가 두칸 위로 올라가서 그 위치에서 부터 다시 해결해야 한다.
Case 2, 3 : z의 부모의 형제가 BLACK인 경우
z의 부모의 형제가 BLACK인 경우 실제로 BLACK 노드일 수도 있고, NIL노드일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에서 노드의 형태로 표현하지 않았다.
Case 2 : z가 오른쪽 자식인 경우
p[z]에 대해서 left-rotation한 후 원래 p[z]를 z로 만든다.
Case 3으로 이동
Case 3 : z가 왼쪽 자식인 경우
p[p[z]]에 대해서 right-rotation을 한다.
p[z]를 BLACK, p[p[z]]를 RED로 바꾼다.
Case 1, 2, 3 정리
Case 1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문제는 종료되지 않는다. Case 2로 갈수도 있고, Case 3로 갈수도 있으며, 다시 Case 1의 문제가 반복해서 발생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루트노드까지 올라가서 레드블랙트리의 조건 2 루트 노드가 레드인 경우를 블랙으로 변경하면서 종료하게 된다.
Case 2는 발생하면, Case 3을 거쳐서 해결하면 종료된다.
Case 3의 경우 z의 할아버지 노드를 기준으로 right-rotate하면 문제가 해결되고, 종료 된다.
Case 1, 2, 3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Case 1에서 Case 4, 5, 6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Case 4, 5, 6
Case 1, 2, 3은 p[z]가 p[p[z]]의 왼쪽 자식인 경우들
Case 4, 5, 6은 p[z]가 p[p[z]]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들
Case 1, 2, 3과 대칭적이므로 생략
결론적으로 Case 1, 2, 3의 정리가 각각 Case 4, 5, 6으로 매칭된다.
Case 4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고, Case 4로 다시, 또는 Case 5, 6으로, Case 1, 2, 3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물론 2칸씩 올라가면서 해결하게 된다.
Case 5의 경우 Case 6을 거쳐서 해결하면 종료된다.
RB-INSERT-FIXUP Code
pesudo code
z는 새로운 노드
1 : z의 부모가 RED인 동안 RED - RED 위반이 존재하므로 while문 수행
실제로 while문의 탈출조건에서 z가 루트노드가 되더라도 루트노드의 parent가 NIL이라고 구현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하는 단계에서는 while문의 탈출조건은
color[p[z]] = RED && p[z] != null
이 될 것이다.
2 : Case 1, 2, 3은 z의 할아버지 노드의 왼쪽자식이 z의 부모노드인 경우이다.
3 : 부모의 형제를 y에 저장한다. z의 할아버지 노드의 오른쪽 자식.
4 : y노드의 color가 레드인지 블랙인지에 따라서 Case1 과 Case2, 3으로 나뉜다.
5 - 8 : Case 1의 경우이다. z가 RED인 상황에서 부모와 부모의 형제가 모두 RED이고, 할아버지 노드는 BLACK인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부모와 부모의 형제노드를 BLACK으로 바꾸고, 할아버지 노드를 RED로 바꾼다. 마지막으로 할아버지 노드를 다시 새로운 노드 z로 설정하여 트리를 타고 올라가면서 문제를 해결한다.
9 : Case 2, 3의 경우이다. z와 z의 부모가 RED이고, z의 부모는 z의 할아버지의 왼쪽자식인 상황에서, z의 부모의 형제노드가 NIL일수도 있고, BLACK을 가지는 노드일 수도 있다. 결국 BLACK인 노드.
10 - 11 : Case 2의 경우는 z가 z의 부모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이므로 우선적으로 z노드를 기준으로 LEFT-ROTATE연산을 거친다. 다음으로 Case 3의 처리 로직으로 넘어간다.
12 - 14 : Case 3의 경우 z의 부모 노드를 BLACK으로 바꾸고, z의 할아버지 노드를 RED로 바꾼 다음, 할아버지 노드를 기준으로 RIGHT-ROTATE를 해준다.
15 : Case 4, 5, 6은 z의 할아버지노드의 오른쪽지식이 z의 부모노드인 경우이다. 대칭적으로 똑같이 동작한다.
16 : 결과적으로 레드블랙트리 FIXUP 메소드의 처리 로직에 따르면 Case 3또는 6에 의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while문을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Case 1, 4를 반복하다가 루트 노드까지 올라가서 while문이 종료되면 루트 노드는 RED이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를 BLACK으로 만들어 준다.
RB-INSERT-FIXUP(T, z)
1 while color[p[z]] = RED
2 do if p[z] = left[p[p[z]]]
3 then y <- right[p[p[z]]]
4 if color[y] = RED
5 then color[p[z]] <- BLACK >> CASE 1
6 color[y] <- BLACK >> CASE 1
7 color[p[p[z]]] <- RED >> CASE 1
8 z <- p[p[z]] >> CASE 1
9 else if z = right[p[z]]
10 then z <- p[z] >> CASE 2
11 LEFT-ROTATE(T, z) >> CASE 2
12 color[p[z]] <- BLACK >> CASE 3
13 color[p[p[z]]] <- RED >> CASE 3
14 RIGHT-ROTATE(T, p[p[z]]) >> CASE 3
15 else(same as then clause with "right" and "left" exchanged)
16 color[root[T]] <- BLACK
INSERT의 시간복잡도
BST에서의 INSERT : O(logn)
RB-INSERT-FIXUP
Case 1, 4에 해당할 경우 z가 2레벨 상승한다.
Case 2, 3, 5, 6에 해당할 경우 O(1)
따라서, 트리의 높이에 비례하는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즉, INSERT의 시간복잡도는 O(logn)
RB-INSERT-FIXUP 처리 흐름
'ICT E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6-1. Hashing 개요 - Chaining, Open Addressing, SUHA (0) | 2018.04.17 |
---|---|
[Algorithm] 5-3. Red Black Tree 03 - DELETE, FIXUP 연산 (3) | 2018.04.07 |
[Algorithm] 5-1. Red Black Tree 01 - 개요 (0) | 2018.03.29 |
[Algorithm] 4-2. Binary Search Tree - 이진탐색트리 (1) | 2018.02.09 |
[Algorithm] 4-1. 트리와 이진트리(tree and binary tree) (0) | 2018.02.0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순환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 젠킨스
- 알고리즘
- Wisoft
- Java
- 자바
- Recursion
- 레드블랙트리
- 한밭대학교
- vuejs
- AWS
- IT융합인력양성사업단
- 정렬
- RBT
- 인프런
- 무선통신소프트웨어연구실
- Vue.js
- vuex
- github
- ORM
- Spring Boot
- Spring
- JPA
- Raspberry Pi
- Algorithm
- 라즈베리파이
- 한밭이글스
- 시간복잡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