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P 알고리즘 KMP알고리즘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하자면, 지금까지 알려진 문자열 알고리즘 가운데 가장 최저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알고리즘이다. 일단, KMP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O(N+K) 여기서 N과 K는 비교할 문자열의 길이이다. 매칭을 하려면 최소한 비교대상과 타겟의 문자열을 한번씩 읽어봐야 할테니, 가장 최적의 시간복잡도이다.알고리즘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이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천천히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추천하고, 본인 역시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서 학습한 내용에 이해에 필요한 설명을 추가하려 포스팅하려고 한다. >http://bywords.tistory.com/entry/%EC%9E%90%EB%A3%8C%EA%B5%AC%EC%A1%B0-KMP-%EC%95%8C%EA%B3%A0%EB..
■라즈비안 제시 설치 후 한글폰트 깨짐현상 얼마 전 라즈베리파이의 OS를 업데이트 했다.OS는 RASPBIAN JESSIE로 업데이트 되었고, 아래 링크를 따라들어가서 설치하면 된다.설치 방법은 본 블로그의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 두번째 운영체제 설치하기 포스팅 글을 따라서 천천히 하면 된다:) RASPBEAN JESSIE :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운영체제를 깔고나서, 인터넷에 접속해봤더니 네이버 메인페이지가 네모로 가득차는 현상이 발생했다. 한글이 깨져서 나타났던것... 본인과 같은 당황스러움을 겪었을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정말 간단하다. 아래명령어 한줄 치고, sudo apt-get install tt..
●제 3회 국립 한밭대학교 드론 작품전시회 IT융합사업단이 출범한 이래로 벌써 3번째 열리는 드론작품전시회에 어김없이 참여하게 되었다. 내가 몸담고 있는 한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무선통신소프트웨어 연구실 'WISOFT' 동기 두명과 팀을 꾸려서 실시간 기상정보 및 화재알림 드론 'LIVECAST DRONE' 프로젝트 진행했다. 'WISOFT_DRONE' 팀은 한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김남준(20121724), 이근혁(20121746), 이수빈(20142044)으로 구성됐고, WISOFT의 지도교수님이신 정보통신공학과 박현주교수님의 지도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작품전시회의 목적은 예전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었지만, 드론을 직접 제작하고 내가 제작한 드론에 내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해..
●대전광역시 어린이축제 '와우키즈페스티벌' 매년 5월 5일 어린이날 대전에서는 '섬기는 사람들의 모임' 에서 주최하는 어린이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2016년 5월 5일에도 대전 중구 문화동 보성초등학교에서 와우키즈페스티벌이 개최됐다. 소외된 계층의 어린이들을 비롯한 모든 어린이들이 참가해서 어린이 날을 즐기고, 각종 체험행사와 먹거리장터 축하공연이 이루어지는 어린이들만의 축제이다. 이 축제에 국립한밭대학교 드론&전기차동아리 한밭이글스가 RC카와 드론 참여행사 부스를 배정받게되어 홍보활동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에게 쉽게 접해보지 못했던 RC카와 드론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배우고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체험행사에는 안전을 위해 조종부스에 주최측에서 안전망을 설치해주셔서 어린이들이 훨씬 ..
●드론동아리 '한밭이글스' 2기를 시작하며 국립 한밭대학교 드론동아리 한밭이글스 1기 단원으로 열심히 활동하고, 2기 출범과 동시에 동아리 회장을 맡게 되면서, DJI사의 팬텀 3 Advanced 기종을 개인지급받게 되었다. DJI사의 인스파이어, 드론작품제작 등 드론에 취미가 있었고, 촬영용 드론을 접하게 되면서 항공촬영을 취미활동으로 하고 있다. 촬영은 80~100m 상공에서 이루어졌으며, 조종거리는 스펙상 5km이지만 아직까지는 최대 1km 떨어진 거리에서 밖에 조종해보지 않았다. 3축 짐벌이 장착 되어있어 영상의 떨림 현상이 적고, 통신상의 문제로 중간에 살짝살짝 끊기는 점이 아쉽다. 동영상 화질은 2.7k를 지원하고 있다. 항공촬영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영상이 매끄럽지 못하지만, 앞으로도..
■홀수 짝수 판단 홀수와 짝수를 판단하는 여러가지 코드가 있을 수 있다. 내가 경험한 OddEven클래스의 변화과정을 부끄럽지만 공유하고자 한다. ●OddEvenManager의 내용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OddEvenManag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숫자를 입력하시오 : "); int input = scanner.nextInt(); boolean statusFalg; OddEven oddeven = new OddEven(); statusFalg=oddeven.judge(input); if(st..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vuejs
- RBT
- 알고리즘
- vuex
- 한밭이글스
- JPA
- 무선통신소프트웨어연구실
- 라즈베리파이
- 순환
- 정렬
- Spring
- AWS
- github
- Algorithm
- 시간복잡도
- springboot
- IT융합인력양성사업단
- 젠킨스
- 스프링부트
- 한밭대학교
- 레드블랙트리
- Recursion
- ORM
- Raspberry Pi
- 자바
- Spring Boot
- Wisoft
- Java
- Vue.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